본문 바로가기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보증료 지원 (최대 30만원 지원 신청방법)

정보와글와글 2024. 4. 11.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보증료 지원 사업은 전세 사기로부터 임차인을 보호하고, 임차인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기 위해 정부에서 실행하는 중요한 사업입니다. 이 사업을 통해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상품에 가입하는 임차인의 보증료를 최대 30만원까지 지원 받을 수 있으며, 이는 전세금 반환 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위험으로부터 임차인을 보호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2023년까지는 연령 제한이 있어 만 39세 이하의 청년, 일부 지역에서는 만 45세 이하까지만 지원 혜택을 받을 수 있었지만, 2024년 3월 4일부터 모든 연령대로 지원 대상이 확대되어 더 많은 임차인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또한, 소득 기준과 보증 범위의 확대로 인해 보다 많은 분들이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되었습니다.

전세 계약을 앞두고 계시거나 이미 전세 계약을 하셨지만 전세보증금 반환보증에 아직 가입하지 않으신 분들은 이 기회를 활용하여 보증료 지원 혜택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이를 통해 전세금 반환에 대한 안전망을 확보하고, 만약의 상황에 대비할 수 있습니다.

보증료 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해당 보증기관의 홈페이지를 방문하거나 직접 방문하여 상세한 정보와 가입 절차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가입과 함께 정부의 지원을 받으실 수 있도록 사전에 필요한 조건들을 꼼꼼히 체크하시고 준비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보증료 지원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보증료 지원 사업은 임차인이 전세금을 안전하게 반환받을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제도입니다.

1. 지원 대상의 확대

  • 연령 제한 폐지 : 이전에는 청년층 및 신혼부부에 한정되었던 지원이 모든 연령대로 확대되어 더 많은 임차인이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 소득 기준 완화
    • 청년: 연소득 5천만원 이하
    • 청년이 아닌 경우: 연소득 6천만원 이하
    • 신혼부부: 연소득 7.5천만원 이하

이러한 소득 기준의 완화는 더 넓은 범위의 임차인들이 보증료 지원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2. 대상 보증 범위 확대

  • 보증 범위 확대: 이전에는 해당 신청년도에 신규 가입한 보증에만 지원이 가능했으나, 변경 사항에 따라 신청일 기준으로 유효한 보증까지 지원 대상이 확대되었습니다. 이는 기존에 보증에 가입한 임차인도 혜택을 받을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대상 주택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지원 사업은 주택 유형에 크게 구애받지 않으며, 주거용 오피스텔, 단독주택, 다중주택, 다가구주택, 연립주택, 다세대주택 등 거의 모든 유형의 주택이 해당됩니다. HUG(주택도시보증공사), HF(한국주택금융공사), SGI(서울보증보험) 전세금 반환보증에 가입 가능한 주택 유형이라면, 모두 이 지원 사업의 신청이 가능합니다.


지원 내용

  • 일반 임차인: 납부한 보증료의 90% 범위 내에서 최대 30만원까지 환급 가능합니다.
  • 청년 및 신혼부부: 납부한 보증료의 100% 범위 내에서 최대 30만원까지 환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청년과 신혼부부에 대한 추가적인 지원을 의미하며, 주거 안정을 위해 특별히 고려된 조치입니다.
  • 2024년 1월 1일부터 3월 3일 사이의 유효 보증을 가진 청년 또는 신혼부부: 작년 사업과의 연속성을 위해 동일하게 납부한 보증료의 100%를 환급받을 수 있으며, 여기에도 최대 30만원의 한도가 적용됩니다.

신청 방법

관할 시·군·구청 방문 신청

직접 방문하여 신청서를 제출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 신청

  • 일부 지자체에서는 온라인 시스템을 통한 접수가 가능합니다.
  • 서울시의 경우, 청년몽땅정보통을 통해 온라인 신청이 가능합니다. 절차는 주거 → 주거비 지원 → 청년 전세보증금반환보증 보증료 지원사업 신청 클릭 (다산 콜 센터 120)을 따르면 됩니다.

신청 후 절차

  • 신청 후 주소지 관할 시·군 담당자의 확인을 거쳐, 30일 이내에 신청 결과를 문자 또는 전자우편으로 통지받게 됩니다.
  • 지원 결정이 나면, 결정 통지 후 15일 이내에 신청자가 지정한 계좌로 입금됩니다.

필요 서류

신청 시 제출해야 할 서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 보증료 지원 신청서 및 서약서
  • 신청인의 주민등록등본, 혼인관계증명서 (해당되는 경우)
  • 임대차계약서 및 부동산 등기사항 전부증명서
  • 전년도 소득금액증명원 (소득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사실증명(신고사실없음)' 제출)
  • 본인 명의의 통장 사본
  •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보증증서 및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보증료 납부 증빙 서류

추가 주의사항

신청하고자 하는 지자체에 따라 요구하는 서류가 다를 수 있으므로, 신청 전 해당 지자체의 홈페이지를 방문하거나 직접 연락하여 필요 서류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서류 미비로 인한 신청 지연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6. 문의처

지자체 부서 연락처

서울 주택정책과 02-2133-7277
인천 주택정책과 032-440-4744
경기 주택정책과 031-8008-3234
강원 건축과 033-249-3464
부산 청년정책담당관 051-888-4612
울산 건축정책과 052-229-4414
경남 건축주택과 055-211-4374
대구 주택과 053-803-4613
경북 청년정책과 054-880-2763
대전 청년정책과 042-270-0832
충북 건축문화과 043-220-4474
충남 건축도시과 041-635-4655
세종 청년정책담당관 044-300-6033
광주 주택정책과 062-613-4872
전남 건축개발과 061-286-7725
전북 주택건축과 063-280-2365
제주 주택토지과 064-710-4252

이번 글에서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보증료 지원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았습니다. 이 지원 사업은 전세금 반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으로부터 임차인을 보호하고, 전세 시장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중요한 제도입니다. 보증료 지원을 통해 경제적 부담을 덜 수 있으며, 전세 사기로부터 보다 안전하게 자신의 권리를 보호할 수 있습니다.

함께 볼만한 글

신생아 특례 전세대출 정리 (신청자격, 조건, 신청방법, 대환 대출 설명)

신혼부부 버팀목 전세자금대출 정리(신청 자격, 대출 조건, 서류)

서울시 신혼부부 임차보증금 이자지원 월세/전세대출 이자지원

 

반응형

댓글